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모달 재즈(Modal Jazz) 코드에서 벗어난 자유, '모드' 하나면 충분, 단순함이 곧 자유

by 브라이언 양 2025. 4. 7.
반응형
                       목 록
모달 재즈(Modal Jazz)코드에서 벗어난 자유
'모드' 하나면 충분?
단순함이 곧 자유 

모달 재즈(modal jazz) 관련 사진
모달 재즈 (modal jazz) 관련 사진

1. 모달 재즈(Modal Jazz), 코드에서 벗어나 자유를 말하다 

재즈를 듣다 보면, 도대체 이건 어떻게 만든 음악일까 싶을 때가 있죠. 악보가 있는 건지, 그때그때 즉흥적으로 만들어내는 건지 헷갈리기도 합니다. 그런데 그런 ‘즉흥’의 묘미를 제대로 느끼게 해주는 스타일이 하나 있어요. 바로 **모달 재즈(Modal Jazz)**입니다. 

이름은 조금 낯설 수 있지만, 음악을 한 번 들어보면 "아, 이런 느낌이었구나" 하고 바로 감이 오는 스타일 입니다. 

 

1950년대, 복잡한 재즈에 대한 반작용 

모달 재즈는 1950년대 후반에 등장했습니다. 그전까지 재즈는 비밥(Bebop)이나 하드 밥(Hard Bop) 같은 스타일이 주류였는데, 이 음악들은 코드가 굉장히 빠르게 바뀌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연주자들은 그 복잡한 코드 위에서 놀라운 속도로 솔로를 펼쳤습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이 오히려 음악적인 ‘자유’를 제한한다고 느낀 사람들이 있었어요. 너무 틀에 갇힌 느낌, 너무 기술 중심적인 느낌이었습니다. 그래서 "좀 더 단순한 구조 속에서 더 깊은 감정을 표현할 수는 없을까? "라는 고민이 생겨났고, 거기서 모달 재즈가 출발한 겁니다. 

 

2. ‘모드’ 하나면 충분하다? 

모달 재즈는 기존의 재즈처럼 계속해서 코드가 바뀌는 게 아니라, 하나의 모드(음계) 위에서 오랫동안 연주가 진행됩니다. 그러니까 연주자는 이 모드 안에서 자유롭게 멜로디를 만들어가는 겁니다. 

예를 들어 ‘Dorian’ 모드 하나만 가지고도, 연주자는 리듬, 뉘앙스, 감정을 통해 끝없이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딱히 화성에 얽매이지 않으니, 더 집중할 수 있는 건 감정 표현, 그리고 ‘나만의 해석’입니다. 

이건 단순히 음악적인 방식의 변화가 아니라, 연주자에게 훨씬 큰 자유를 주는 새로운 언어와도 같습니다. 이게 왜 혁신이었는지, 당시에는 꽤 충격적이었습니다. 

 

마일스 데이비스와 존 콜트레인, 그리고 한 장의 앨범 

 

모달 재즈의 가장 유명한 시작점은 바로 **마일스 데이비스(Miles Davis)**의 [Kind of Blue]라는 앨범이에요. 1959년에 발표된 이 앨범은, 지금도 재즈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듣는 앨범 중 하나 입니다. 

특히 ‘So What’이라는 곡은 모달 재즈의 정수를 보여줘요. 간단한 베이스 라인, 느긋한 분위기, 그리고 그 위에서 연주자들이 펼치는 자유로운 즉흥. 말 그대로 ‘형식은 최소화하고 감정은 극대화’된 곡입니다. 

그리고 이 앨범에는 또 다른 거장이 참여했습니다. 바로 **존 콜트레인(John Coltrane)**입니다. 그가 후에 발표한 ‘My Favorite Things’나 ‘Impressions’ 같은 곡들도 모달 재즈 스타일을 잘 보여줍니다. 같은 곡이어도 연주할 때마다 감정의 흐름이 다르고, 해석이 달라집니다. 듣는 사람마다 느끼는 분위기도 다릅니다. 

 

3. 단순함이 곧 자유다 

모달 재즈의 핵심은 단순합니다. 

“음계를 정해줄게. 이제 그 안에서 네가 하고 싶은 말을 해봐.  

기존의 코드 중심 재즈가 빡빡한 규칙 속의 창의력이라면, 모달 재즈는 느슨한 규칙 속의 깊이 있는 대화입니다. 하나의 음계, 몇 개의 코드, 그리고 그 안에서 만들어지는 수많은 감정들 입니다. 

이건 마치, 같은 단어를 가지고도 사람마다 전혀 다른 시를 쓸 수 있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제한된 도구로 무한한 표현을 만드는 겁니다.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영향력 

 

모달 재즈는 한 시대의 트렌드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재즈의 이후 방향을 완전히 바꿔놓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프리 재즈(Free Jazz), 아방가르드(Avant-Garde)로 이어지는 실험적인 흐름도 이 모달 어프로치 덕분에 가능해졌습니다. 

 

지금도 재즈를 배우는 학생들은 모드를 기반으로 한 즉흥 훈련을 많이 합니다. 모달 방식은 기초 훈련이자 창의성 확장의 첫걸음 같은 겁니다. 그리고 이 방식은 재즈를 넘어서 록, 월드뮤직, 심지어 클래식에도 영향을 줬어요. 팻 메스니(Pat Metheny), 에스페란자 스팔딩(Esperanza Spalding) 같은 아티스트들도 이 모달적인 접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모달 재즈는 여전히 유효하다 

 

모달 재즈는 단지 음악의 한 장르가 아니라, 

‘자유롭게 표현한다는 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하나의 해답입니다. 

우리는 때때로 너무 많은 선택지와 복잡한 구조 속에서 길을 잃었습니다. 

하지만 모달 재즈는 말합니다. 

 

“하나만 있어도 괜찮아. 그 안에서 네 이야기를 해. 

 

오늘 밤, 마일스 데이비스의 ‘So What’을 틀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눈을 감고, 그 단순함 속에서 피어나는 자유를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그게 바로 모달 재즈입니다. 



반응형